경추·요추 디스크·협착증 치료

허리가 아프면 어떤 자세를
취해도 아프고 가벼운 운동이나
걷기조차 힘든건 물론이고
서있든 앉아있든 누워있든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어도
통증이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으시면 수술없는
비수술적 한방 치료로
충분히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합니다.

척추뼈 사이에 추간판이
튀어나오거나 터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는것을
말합니다

척추 뼈는 척추에 실리는
체중을 골고루 분산되게끔
부드러운 S자 모양의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척추 뼈 사이에는
쿠션 같은 완충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있는데 탄력성이 뛰어나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척추 뼈끼리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디스크가
외부의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나거나
찢어지게 되면서 염증이 생기고
신경근을 건드려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데 이를 허리디스
(요추 추간판탈출증)라고 합니다.

허리통증 외에도 제 자리에서
밀려 나온 디스크의 신경을
누르는 위치에 따라 골반과
다리에 통증 및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치할 경우
다리 근력 저하로 보행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
 최악의 경우 하반신 마비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외부요인

외부적인 손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

내부요인

腎者腰之府라하여
신장의 기운이
허리로 나온다고 하였고

간주근이라고 하여
모든 근육을 주관하는 것은
간장이라고 하였습니다.

때문에 디스크가 발생하는
한방적 원인의 대표적인 것이
간장과 신장의

기운이 약해지면
 허리를 받치고 있는
근육이 약해지고 때문에

같은 압력을 받았더라도
디스크가 돌출이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만성질환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을 받아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은 뇌에서 내려오는
척수신경을 보호하는 곳 입니다.
척추뼈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퇴행되어 척추관 내에
이상물질이 생기거나
인대가 두꺼워져 척추관 내
공간이 좁아지게 되면
척수신경을 자극하여
염증이 생겨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척추관협착증이라 하며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에
속합니다.

주로 50대 이후에
많이 나타나고,
남자에 비해 여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며
주로 요추 4번과 5번 사이를
침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을 방치할 경우
보행이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해지며, 수면 시에도 계속
쥐가 나고 아프기 때문에
삶의 질이 극도로 저하되기에
발생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1막연한 둔통과
      뻣뻣함이 나타나는 경우
  • 2통증이 걷다가
      쪼그려 앉으면 좋아지는 경우
  • 3한 번에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점점 짧아지는 경우
  • 4산책이나 시장가는 것이
      힘들어지는 경우
  • 5걸을 때 주로 하지의 통증이나
      저림이 발생하는 경우

허리디스크와 협착증
비슷하지만 달라요!

  척추관 협착증 허리 디스크
정의 척추관이 좁아져 척수관 내 신경을 자극하는 질환  디스트 내 수핵이 탈출하여 신경을 눌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  
 증상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함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심함  
 다리저림, 감각이 둔해짐 허리에서 다리로 당기고 아픔
앉아있을 때는 통증이 덜 했다가 조금만 걸으면 통증이 심해짐  걸을수록 통증이 심함
주 연령층  50~60대 이상 노년층 30~40대 중년층
확대

경추·요추 디스크·협착증 치료,
정확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서울한방병원에서는

환자 개개인에 맞는 
증상별·원인별 치료로

진단 후
개인맞춤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한방병원 치료에 대하여 문의하세요!